profile image
429일 오전 12:54 - 수정됨
길림성박물원吉林省博物院Jilin Provincial Museum 창춘(장춘)长春Changchun지린성(길림성)吉林省Jilin.
 
 늦은 길림성박물원 기록이다. 지난 삼일절 연휴에 방문했던 길림성박물원吉林省博物院은 길림과학기술문화센터吉林省科技文化中心 단지 내의 한 건물이다. 과학기술관, 박물원, 미술관의  3개 기관이 삼각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지린성 박물원은 1급 문화재 300여을 포함하여 총 12만 건 이상의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그 가운데 부여, 고구려, 발해, 요, 금나라 시대의 문화유물과 중국 각 왕조의 서화, 동북 항일 연합군의 문화유물 등이 박물관의 주요 유물이다.
기본전시는 중국 도자기와 도자화를 다루는 길림성 박물관의 고급 고대 도자기 전시관 ’자어천년瓷语千年:길림성 박물원 장고대도자정품전吉林省博物院藏古代陶瓷精品展’과 길림인민혁명투쟁사전시관 ‘파효: 길림인민혁명투쟁사진열 破晓: 吉林人民革命斗争史陈列’, 길림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 역사전시관인 ‘백산송수적기억-길림성역사문화진열 白山松水的记忆-吉林省历史文化陈列’ 그리고 길림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 무형문화유산 역사전시관인 ‘길림고사- 길림성비물질문화유산전吉林故事-吉林省非物质文化遗产展’의 4개관이 기본 전시관이다. 내가 방문했던 25년 2월 28일에는 임시 전시로 지린성 박물관이 수집한 근•현대 거장들의 동물 주제 그림 전시회인 ‘활발발지: 길림성박물원 근대명가동물제재화전活泼泼地:吉林省博物院藏近现代名家动物题材画展’과 탁본전시‘금석영수-길림성박물원장비체탁본전金石永寿-吉林省博物院藏碑帖拓本展’가 있었다. 동진東晉의 ‘고구려호태왕비高句麗好太王碑’로 소개하고 있는 광개토대왕의 탁본도 만났다. 진귀한 부여扶餘, 고구려高句麗, 발해渤海의 유물들을 만날 수 있어서 만족한 박물관 투어였다. 
 
•사동희화규화경四童戏花葵花镜.
금나라의 거울로 직경13.8cm다. 1956년 창춘长春시에서 발굴하였다. 거울 뒤에는 해바라기와 꽃으로 뒤덮여 있고, 네 명의 아이도 새겨 있다.
•은유계관호银釉鸡冠壶.
1975년 지린성吉林省 철리목맹哲里木盟 나만기奈曼旗 역호내力好来에서 발굴되었다. 1979년 철리목맹은 내몽골 자치구로 반환되었다. 그러나 지린성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은색 유약을 바른 닭벼슬 항아리는 요(랴오)辽 시대의 높이 25cm, 지름 6cm 크기다. 연한 노란색과 녹색 유약을 바른 도자기로 만든 본체는 납작하다. 위쪽에는 밧줄을 끼울 수 있는 이중 구멍이 있다.
•동은완식铜銀腕饰(부여).
직경 4.9~8.3cm 구리 팔찌다. 1981년 지린성 유수현榆树县 모하심老河深 여성의 묘墓에서 출토되었다. 부여 사람들의 복식과 금은 세공 기술의 발전 수준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증거다. 각 팔찌는 1에서 10개까지 여러 버클로 만들어졌으며,  3~6개가 세트다. 오랜 역사로 인해 구리와 다른 물질 간의 화학 반응이 수천 년 동안 지속되어 원래 색상이 사라지고  회녹색으로 변했다. 왼쪽 3개는 구리고 오른쪽 1개는 은이다.
•선와문동환漩涡纹铜环(부여)
부여의 유물로 바깥지름 12.8cm, 가장 두꺼운 부분은 0.5cm다. 이 유물은 1981년 유수현榆树县의 로하심묘老河深墓에서 발굴되었다. 횡단면은 올리브 모양이고 양쪽에 8개의 동일한 나선형 패턴인 소용돌이 선와문漩涡纹이 새겨져 있다 선은 매끄럽다. 둥근 팔찌 같다.
•마노항식玛瑙项饰(부여).
부여의 유물로 길이 약 98cm인 마노구슬로 꾸민 목걸이(사진 가장 오른쪽 )다. 1981년 유수현榆树县 모하심老河深 1호묘에서 발굴되었다.  마노구슬 266개와 금고리 6개의 구성이다. 색깔은 주황 붉은색이고. 원통형 금은 마노 구슬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1호 무덤 매장 유물은 금 귀걸이, 금은 손가락 장신구(양손의 열 손가락 모두에 금이나 은 반지를 끼운 것), 은으로 만든 손목 장신구, 철제 말 고삐 등 매우 풍부하다.
•류금신수동패식鎏金神兽铜牌饰(부여).
부여의 길이 11.5cm, 너비 7.2cm, 두께 0.15cm의 장식용 패牌다. 이 유물은 1981년 유수현榆树县 노하심묘老河深墓에서 발굴되었다. 앞면에는 페가수스 모양의 신화 속 짐승이 그려져 있는데, 코뿔소와 비슷하게 굽은 주둥이와 위로 향한 뿔이 있다
•착금은’병오신구’동대구错金银’丙午神钩’铜带钩.
동한东汉의 길이 15.7cm의 금•은을 도금한 구리로 만든 벨트다. 1968년  류수현榆树县 류가향刘家乡에서 발굴하였다. 머리는 독수리 모양이고, 금과 은실로 만든 깃털과  눈구멍에는 푸른 보석이 박혀 있고 이마에 청록색 물방울이 있다윗배에 "丙午神钩君必高迁(병오신구, 너는 반드시 출세하리라)"는 8자 금박 글씨가 새겨져 있다. 전체에 금, 은, 보석 등이 상감 되어 있어 매우 희귀하고 귀중한 예술작품이다,
•돌사자石狮(발해).
발해(당나라(渤海(唐) 시대의 높이 64cm 크기의 화강암 돌 사자 상이다. 이 유물은 1949년 지린성 돈(둔)화현敦化县의 정혜공주묘贞惠公主墓에서 발견되었다. 발해(보하이)渤海의 장인들은 세련된 기술로 무덤을 지키는 돌사자를 위엄 있게 조각했다. 석사자는 산시성 陕西省 당나라 건릉乾陵의 대형 석사자와 매우 유사하여 발해의 석조예술이 당나라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는 발해의 예술품이다.
•글단(거란)문동경契丹文铜镜.
'契丹글단'은 ‘거란’의 원말이다. 요辽 나라의 청동 거울로 직경 26.2cm다. 1971년 지린성 대안현大安县 홍강红岗에서 발굴되었다. 거울은 팔각형으로 거울 뒷면에는 다섯 줄의 작은 거란(契丹글단) 글자가 새겨져 있다. 내용은 ‘시간은 결코 돌아오지 않을 것이고, 운명은 신의 손에 달려 있다. 만약 당신이 시간 속에서 해방된다면, 신이 당신을 축복할 것이다’ 다.
•백옥이배白玉耳杯(고구려)
고구려(한(高句丽(汉) 시대의 유물로 높이 3.2cm, 입 길이 13cm, 입 너비 9.5cm의 백옥으로 만든 귀 모양의 잔(杯), 혹은 대접이다. 1958년 지린성 집안(지안)현集安县의 성에서 발견되었다 백옥으로 만든 도자기로 옥잔은 매우 드물다. 이 유물은 신강新疆 화전옥和田玉으로 만들었다. 매끈하고 수정처럼 맑으며, 화려하고 품위가 있다. 고구려 문화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는 강력한 증거다.
•‘화둔길위지휘사사인’동인“禾屯吉卫指挥使司印”铜印.
명明나라 시대의 9cm 크기의 청동으로 만든 도장이다. 이 유물은 1974년 지린성 도안현洮安县 옥성촌玉城村의 명나라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 구리 9겹의 인장 글자는 "화둔길위지휘사사인禾屯吉卫指挥使司印" 인장 뒷면에는 "예부조礼部造", "영락 7년 9월 9일永乐七年九月日"이 새겨져 있으며, 옆면에는 "예부 43호"가 새겨져 있다. 영락永乐 7년七年은 서기 1409년이다.
•용천요호녹유첩국화문세龙泉窑湖绿釉贴菊花纹洗.
원元 나라 시대의 높이 2.5cm, 지름 16.5cm 크기의 용천요 龙泉窑 가마에서 구운 유약을 바른 국화 문양의 세숫대야다. 유약의 색은 연한 호수색으로 부드럽고 우아하다. 안쪽 바닥 중앙에는 짙은 붉은색 국화 한 송이가 그려져 있다.
•용천요관음상龙泉窑观音像.
원元 나라의 높이 24.2cm 크기의 도자 관음상으로 용천요 龙泉窑에서 구운 도자다. 머리에 꽃 관을 쓰고 몸에 목걸이를 하고 있다.  평화로운 표정으로 엄숙하고 위엄 있다. 동상의 좌우에는 동상을 섬기는 아들들이 있다.
•건릉관방균요쌍이병乾隆款仿钧窑双耳瓶.
청 건륭시기清乾隆时期(1736~1795)의 높이 29.8cm의 병 유물이다.  형태는 송나라 관요官窑를 본떠 하였고, 유약색은 균(준)요钧窑를 본뜬 모방작품이다. 형태가 품위 있고 안정적이며, 녹색, 흰색, 파란색, 보라색의 유약색이 서로 보완되어 화려하다.
•송여요청유타원수선분宋汝窑青釉椭圆水仙盆.
송宋나라 시기 여요汝窑에서 구운 그릇으로 높이 4.2cm, 입구 23.2cm × 15.5cm, 바닥 22.5cm × 14.7cm 크기다. 수선화가 그려진 그릇의 유약은 하늘색이며 두껍고 촉촉하며 가장자리가 약간 얕다. 유약의 미세한 균열은 일반적으로 게 발톱 무늬인 ‘해조문蟹爪纹’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요汝窑가마 도자기에서만 보여지는 현상이다.

•사동희화규화경四童戏花葵花镜.

•은유계관호银釉鸡冠壶.

•동은완식铜銀腕饰(부여).

•선와문동환漩涡纹铜环(부여)

•마노항식玛瑙项饰(부여).

•류금신수동패식鎏金神兽铜牌饰(부여).

•착금은’병오신구’동대구错金银’丙午神钩’铜带钩.

•돌사자石狮(발해).-복제품

•글단(거란)문동경契丹文铜镜.

•백옥이배白玉耳杯(고구려)

•‘화둔길위지휘사사인’동인“禾屯吉卫指挥使司印”铜印.

•용천요호녹유첩국화문세龙泉窑湖绿釉贴菊花纹洗.

•용천요관음상龙泉窑观音像.

•건릉관방균요쌍이병乾隆款仿钧窑双耳瓶.

•송여요청유타원수선분宋汝窑青釉椭圆水仙盆.

•탁본-고구려호태왕비高句麗好太王碑(고구려)

•탁본-고구려호태왕비高句麗好太王碑(고구려)

      스티콘 선택

      스토리에서도 카톡 이모티콘을 사용할 수 있어요!